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재무제표 공부하기

망하지 않을 기업 찾기

by 늘해랑한아 2021. 5. 27.
728x90
반응형

2021년 3월 16일 어피티 뉴스레터 내용입니다.

원본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어피티 구독하세요.

 

안녕하세요 :)

 

재무제표에 대해서 하나씩 공부하고 있는데 어떠신가요?

 

신사임당님이 하신 말씀이 생각이 나요.

 

단군이래 가장 돈 벌기 쉬운 시대라고 하셨죠?

 

제가 생각하기에는 단군이래 가장 공부하기 쉬운 시대인 것 같아요.

 

무료로 제공되는 정보가 너무나도 많지 않나요?

 

수많은 도서관들, 유튜브, 뉴스레터까지.

 

우리 열심히 공부해보자고요.

 

오늘 재무제표 공부 시작할게요!

 

 

회사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네 가지 방법 (안정성이 높다 = 회사가 파산할 확률이 낮다.)

 

1. 차입금비율 = 차입금 / 자본총계 × 100

  * 차입금 : 회사가 가진 부채의 일종. 기업이 일정 기간 빌린 돈. 갚을 때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음.

  * 차입금 종류 :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부채, 기타금융부채, 장기차입금, 회사채 등

                        → 은행에서 빌린 돈 + 회사채

 

  차입금비율 ↓ : 기업의 안정성 ↑

  30% 이하 : 적정 비율

 

 

2. 부채비율(전체 부채를 고려하는 지표)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100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부채  예) 매입채무

  자본 대비 부채를 얼마나 가졌는지 확인

 

  부채비율 ↓ : 기업의 안정성 ↑

  부채비율 200% 이상인 기업 : ×

 

 

3.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 유동부채 :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

 

  유동비율 ↑ : 단기지급능력 양호

  100% 초과 : 안정적

  200% 이상 유지 : 바람직

 

 

4. 이자보상비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기업이 이자를 상환할 수 있는 근본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최소한 1.5배 이상 : 안심

  IF 이자보상비율 < 1 : 영업이익을 전부 이자 갚는데 쓴다는 것 → 위험

 


 

  오뚜기 농심 오리온 매일유업 동서
차입금비율(%) 24.79 → 적정 3.49 → 적정  12.23 → 적정 15.87 → 적정 0.02 → 적정
부채비율(%) 62.23 → 적정 33.02 → 적정 40.47 → 적정 69.23→ 적정 9.20 → 적정
유동비율(%) 136.79 → 안정적 205.77 → 바람직 230.83 → 바람직 207.13 → 바람직 1,351.61 → 바람직
이자보상비율 22.95 → 안심 40.98 → 안심 51.09 → 안심 36.13 → 안심 1,128.51 → 안심

 

* 차입금비율 : 재무제표에서 차입금 종류를 아직 명확하게 구분을 못해서 비율이 정확하지 않아요.

  특히 기업 동서의 차입금 비율은 말이 안 되는 것 같죠? 공부를 더 해야 할 부분입니다.

 

* 부채 비율, 유동 비율, 이자보상비율은 네이버 증권에서 확인했어요. 

   어디서 보시면 되는지 사진으로 알려드릴게요.

728x90
반응형

'재테크 공부 > 재무제표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의 종류와 지표  (0) 2021.06.04
현금흐름표  (0) 2021.06.02
청산가치  (1) 2021.05.25
PBR 지표  (0) 2021.05.21
PER 지표  (0) 2021.05.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