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16일 어피티 뉴스레터 내용입니다.
원본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어피티 구독하세요.
안녕하세요 :)
재무제표에 대해서 하나씩 공부하고 있는데 어떠신가요?
신사임당님이 하신 말씀이 생각이 나요.
단군이래 가장 돈 벌기 쉬운 시대라고 하셨죠?
제가 생각하기에는 단군이래 가장 공부하기 쉬운 시대인 것 같아요.
무료로 제공되는 정보가 너무나도 많지 않나요?
수많은 도서관들, 유튜브, 뉴스레터까지.
우리 열심히 공부해보자고요.
오늘 재무제표 공부 시작할게요!
회사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네 가지 방법 (안정성이 높다 = 회사가 파산할 확률이 낮다.)
1. 차입금비율 = 차입금 / 자본총계 × 100
* 차입금 : 회사가 가진 부채의 일종. 기업이 일정 기간 빌린 돈. 갚을 때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음.
* 차입금 종류 :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부채, 기타금융부채, 장기차입금, 회사채 등
→ 은행에서 빌린 돈 + 회사채
차입금비율 ↓ : 기업의 안정성 ↑
30% 이하 : 적정 비율
2. 부채비율(전체 부채를 고려하는 지표)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100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부채 예) 매입채무
자본 대비 부채를 얼마나 가졌는지 확인
부채비율 ↓ : 기업의 안정성 ↑
부채비율 200% 이상인 기업 : ×
3.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 유동부채 :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
유동비율 ↑ : 단기지급능력 양호
100% 초과 : 안정적
200% 이상 유지 : 바람직
4. 이자보상비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기업이 이자를 상환할 수 있는 근본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최소한 1.5배 이상 : 안심
IF 이자보상비율 < 1 : 영업이익을 전부 이자 갚는데 쓴다는 것 → 위험
오뚜기 | 농심 | 오리온 | 매일유업 | 동서 | |
차입금비율(%) | 24.79 → 적정 | 3.49 → 적정 | 12.23 → 적정 | 15.87 → 적정 | 0.02 → 적정 |
부채비율(%) | 62.23 → 적정 | 33.02 → 적정 | 40.47 → 적정 | 69.23→ 적정 | 9.20 → 적정 |
유동비율(%) | 136.79 → 안정적 | 205.77 → 바람직 | 230.83 → 바람직 | 207.13 → 바람직 | 1,351.61 → 바람직 |
이자보상비율 | 22.95 → 안심 | 40.98 → 안심 | 51.09 → 안심 | 36.13 → 안심 | 1,128.51 → 안심 |
* 차입금비율 : 재무제표에서 차입금 종류를 아직 명확하게 구분을 못해서 비율이 정확하지 않아요.
특히 기업 동서의 차입금 비율은 말이 안 되는 것 같죠? 공부를 더 해야 할 부분입니다.

* 부채 비율, 유동 비율, 이자보상비율은 네이버 증권에서 확인했어요.
어디서 보시면 되는지 사진으로 알려드릴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