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19일 어피티 뉴스레터 내용입니다.
원본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어피티 구독하세요.
안녕하세요 :)
저는 '어피티'라는 경제 관련 뉴스레터를 받고 있어요.
올해 1월부터 어피티에서 재무제표에 대한 내용을 보내줬어요.
처음에는 대충 읽고는 보관함에 쌓아놓기만 했었죠.
하지만 요즘 주식 투자를 하면서 나의 뇌피셜로 투자를 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다시 꺼내서 찬찬히 읽으면서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블로그에 기록하려고 해요.
정보를 알려드린다기보다는 제가 언제든지 다시 보면서 기억하기 위함임을 염두해주세요.
재무제표 | |
손익계산서(회사의 성적표) | 재무상태표 |
매출, 비용 | 자산, 부채 |
매출 : 얼마를 버느냐? 비용 : 얼마를 쓰느냐? |
자산 : 얼마를 가지고 있느냐? 부채 : 빚은 얼마나 되느냐? |
1. 손익계산서 : 기업의 경영 성과 파악. 수익, 지출을 파악하는 기업 가계부
① 매출액 : 제품 판매량 × 판매 가격
②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원가 :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지출
③ 판관비(판매비와 관리비) :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 관리,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
예) 인건비(기획홍보 담당자), 판매지(광고비), 일반관리비(기타 비용) ···
④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관비 ↔ 영업손실 = 적자를 기록함
영업이익은 기억이 영업을 통해 얼마를 벌었는지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
영업이익 ↑ = 기업이 경영을 잘함
⑤ 영업외이익 : 기업이 본업이 아닌 다른 곳에서 벌어들인 수익
영업외손실 : 수익이 (-)인 경우, 예) 창고에 불 → 재고가 타버림, 투자 → 손해
⑥ 세전수익(=법인세비용차감 전 이익) : 영업이익 ± 비영업손익
⑦ (당기)순이익 : 세전이익 - 법인세비용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의 주가는 오를 가능성이 크다.
2. 재무상태표 : 기업이 가진 것이 무엇인지 보여줌
* 손익계산서 : 순이익 ↑ → 재무상태표 : 자기자본금 ↑
* 자기자본금 = 이전자기자본금 + 순이익 - 배당금
① 자산 : 자본(자본금 + 잉여금) + 부채
1년 안에 현금화 | O | 유동자산 | 당좌자산, 재고자산 | 현금 매출채권 : 외상 주고 아직 못 받은 돈 재고 : 곧 현금이 될 물건 |
X | 비유동자산 | 투자자산, 유·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 | 유형자산 : 건물, 토지, 기계··· 무형자산 :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
② 부채 : 빚, 타인자본, 외부로부터 빌려서 조달한 재원
1년 안에 갚기 | O | 유동부채 : 매입채무, 차입금 |
X | 고정부채 |
기업이 자산 대비 부책가 적다 = 파산 가능성 ↓
③ 자본 : 장사나 사업의 기본이 되는 돈. 기업 고유의 재산
★ 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 : 자산 안정적, 적당한 부채 규모
★ 자본총액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기업의 주가는 오를 가능성이 크다.
★ 자산에 꾸준히 투자하는 회사는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