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6일 어피티 뉴스레터 내용입니다.
원본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어피티 구독하세요.
안녕하세요 :)
재무제표는 어렵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계속 조금씩 공부하다 보니 재밌습니다.
아직까지는 썼던 글을 다시 봐야 떠오르곤 하지만
언젠간 저도 다양한 지표들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오늘 재무제표 공부 시작할게요.
순이익으로 재무제표 읽기
영업이익이 플러스라고 그 금액만큼 기업이 이익을 남겼다고 할 수 없다.
본업 외의 이익이나 손실이 있는지 계산하고 법인세도 고려하여야 한다.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손익 ± 금융투자손익 - 법인세
PER 지표 ↓ : 저평가
PER 지표 ↑ : 고평가
GP/A + PSR 지표와 비교하기 위해 시가총액을 동일하게 적음
회사명 | 시가총액(억) | 2020년 당기순이익(억) | PER 지표 |
오뚜기 | 20,306 | 1,104 | 18.39 |
농심 | 18,430 | 1,490 | 12.36 |
오리온 | 48,036 | 2,746 | 17.49 |
매일유업 | 6,228 | 577 | 10.79 |
동서 | 30,807 | 1,206 | 25.54 |
▶ 저평가 : 매일유업 > 농심 > 오리온 > 오뚜기 > 동서
우량주를 확인하는 GP/A 지표와는 결과가 달랐다.
상대적으로 매일유업은 저평가, 동서는 고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GP/A + PSR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GP/A 지표
2021년 2월 2일 어피티 뉴스레터 내용입니다. 원본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어피티 구독하세요. 안녕하세요 :) 오늘의 재무제표 공부 시작합니다. 매출총이익으로 재무제표 읽기 1. 매출총이익(Gross P
graceful-goomoo.tistory.com
★ 기업을 확인하지 않고 PER이 낮은 곳에 투자는 안됨.
★ PER이 낮을 때 매수하는 식으로 활용하기.
★ 네이버 증권(금융) → 기업의 종목분석에서 다양한 지표를 쉽게 확인 가능.
댓글